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

kserve에 contribute 했습니다. Kserve에 Contribute 했습니다. Kserve는 k8s위에서 동작하는 오픈 소스 ML 추론 플랫폼입니다. (*2023-06-05 기준 start 2,200개) 크진 않지만, kserve의 controller 코드에서, 로그에 어색함을 발견해 6월 2일 퇴근 후 PR을 작성했고, 6월 5일 merge되었습니다. 😊😊😊 변경점은 사소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프레임 워크에 처음으로 contribute 했다는 점이 재밌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결함을 찾으면 PR 올려보는 걸로..😅) 추후에 kserve의 custom resource인 inference service가 어떤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고, 어떤 serverless architecture의 리소스 위에서 동작하는지 설명하는 글도.. 2023. 6. 5.
The Twelve-Factor App (2/2) The Twelve-Factor App (2/2) 이전글 > The Twelve-Factor App (1/2) The Twelve-Factor App (1/2) 이전 포스트의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I. Codebase: app은 단일 레포지토리와 1:1 관계 하나의 codebase는 여러 deploy에 배포 가능 II. Dependencies (의존성) 모든 의존성들을 explicit 하게 manifest로 관리 시스템 도구를 포함한 implicit한 의존성이 존재해서는 안됨 III. Config (설정) 코드로부터 분리하고, 환경 변수를 통해 관리 IV. Backing services (ex. DB, Redis, 다른 백엔드 서비스 등등) backing service를 리소스로써 취급 V... 2023. 6. 4.
The Twelve-Factor App (1/2) The Twelve-Factor App (1/2) 글에 들어가기 앞서 ⚡ 서비스를 개발하다 보면, 아래와 같은 고민들을 많이 하게 됩니다. config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지? 로그는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지? 코드를 어떻게 관리하지? 의존성은 어떻게 관리하지? 트래픽이 몰려서 서비스 성능을 올려야 하는데, 여러 머신에서 구동했을 때 충돌이 일어나네..?! 🚨🚨🚨 기존에 똑똑하신 선조분께서 컨벤션을 잘 잡아주신 경우는 컨벤션을 따라가면 되지만, 처음 프로젝트를 킥오프 하는 상황에서 컨벤션을 정해야 하는 경우가 필연적으로 존재합니다. 😢😢😢 (˚ ˃̣̣̥⌓˂̣̣̥ )(˚ ˃̣̣̥⌓˂̣̣̥ ) ☄✨🌟💫⭐ 그런 상황에서 기준이 될 수 있는 `The Twelve-Factor App` 을 소개합니다! ⭐💫🌟✨☄.. 2023. 6. 3.
Linear Programming와 simplex method 그리고 duality 본문에 앞서 주의할 점 제가 어떤 개념에 대해 이해할 때는 저만의 언어로 해석해서 이해하는 부분이 많아서 기존과 용어가 다르기 때문에 이해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교육의 목적이 아니라 정리의 목적이 강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혹시라도 논리상의 모순이 존재한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inear Programming (LP) Linear Programming은 n개의 변수가 있고, m개의 선형 조건들이 있을 때, 각 변수들에 m개의 선형 조건을 만족하는 적절한 값을 대입해서 목표 함수를 최대화(Maximize)하는 문제입니다. 저는 Applied Finite Mathematics (Sekhon and Bloom)(link)를 보고 공부하였습니다. 위 문제는 n이 2일때는 중학 수학에서 배우지만, .. 2021. 8. 4.